아프리카개발은행, 새 보고서 발표: 글로벌 불확실성 속 아프리카 경제 성장 강화
2025/2/17

아프리카개발은행의 '2025년 아프리카 거시경제 성과 및 전망(MEO) 보고서': 글로벌 난제 속 아프리카의 강화된 경제 성장 강조
아프리카개발은행(AfDB)은 2025 아프리카 거시경제 성과 및 전망 보고서(Macroeconomic Performance and Outlook, MEO)를 발표하며, 아프리카 경제가 긍정적인 성장 경로를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글로벌 경제 충격에 취약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본 보고서는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제38차 아프리카연합(AU) 정상회의'의 부대행사로 발표되었으며, 아프리카 대륙의 실질 GDP 성장률이 2025년 4.1%, 2026년 4.4%로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같은 전망은 경제 개혁, 인플레이션 완화, 재정 및 부채 관리 개선 등 여러 긍정적인 요인에 기인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고서는 아프리카 경제 성장률이 빈곤 감소에 필요한 7% 이상의 성장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특히 사헬 지역과 아프리카의 뿔 지역 등에서 발생하는 지정학적 긴장, 구조적 약점, 기후 변화로 인한 재해, 장기적인 갈등 등 다양한 도전 과제가 여전히 존재한다고 언급했습니다. 2024년 아프리카의 평균 실질 GDP 성장률은 2023년의 3.0%에서 약간 증가한 3.2%로 예상됩니다.
보고서는 또한 인플레이션 압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아프리카 대륙의 평균 인플레이션률이 통화정책 강화에 힘입어 2024년 18.6%에서 2025-2026년에는 12.6%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습니다. 2023년 GDP 대비 재정 적자는 4.4%에서 2024년 4.6%로 소폭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2025-2026년에는 4.1%로 축소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공공부채는 안정세를 보이나, 여전히 팬데믹 이전 수준을 웃도는 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며, 9개국은 부채 위기에 처해 있고, 11개국은 위기 위험에 직면해 있습니다.
아프리카개발은행은 1분기와 4분기에 각각 발행되는 이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경제 정책 입안자들이 적시의 경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정책 입안자, 개발 파트너, 글로벌 투자자, 연구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아프리카의 경제 성장과 회복력
2025 아프리카 거시경제 성과 및 전망 보고서는 24개 아프리카 국가가 2025년 GDP 성장률 5%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들 국가에는 지부티, 니제르, 르완다, 세네갈, 남수단 등이 포함됩니다. 아프리카는 여전히 아시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으로 남을 것으로 예상되며, 20개국 중 12개국이 아프리카 대륙에 속할 것으로 보입니다.
에티오피아 재무부 장관인 아토 아메드 쉬데는 보고서에 대한 심층 분석을 환영하며, 아프리카 경제 성장률이 단기적으로 4%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성장과 안정을 지속하기 위한 선제적 정책 조치가 필요함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에티오피아가 거시경제적 안정성 회복과 경제 회복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담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정부는 경제 자유화, 민간 부문 권한 부여, 재정 규율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아프리카의 회복력 강화 필요성
아프리카개발은행의 지역 개발, 통합 및 사업 제공 담당 부총재인 네나 은와부포는 보고서 발표에서 아프리카가 세계 경제 성장의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추고 있음을 강조하면서도,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단호하고 조율된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아프리카는 점점 더 복잡해지는 경제 상황을 헤쳐 나가면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미래 지향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해야 한다"며, 아프리카의 경제적 회복력과 성장 전망은 여전히 강력하나 과제가 여전히 산적해 있음을 지적했습니다.
보고서를 발표한 아프리카개발은행 그룹의 수석 경제학자이자 경제 거버넌스 및 지식 관리 부총재인 케빈 우라마 교수는 경제 확장을 촉진하는 한편 인플레이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통화정책과 재정정책 간의 긴밀한 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또한 각국에 외환 보유액 강화를 통해 경제를 외부 충격과 통화 가치 하락으로부터 보호하고, 채무 불이행을 방지하며 금융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선제적 부채 구조 조정의 필요성을 촉구했습니다.
우라마 부총재는 중장기 전략으로 경제 다각화와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통합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늘리는 것을 제안하며, 정부가 규제 개혁과 민간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장기적인 기업 환경 개선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향후 과제와 정책 권장 사항
2025 MEO 보고서는 금융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선제적 부채 구조 조정, 경제 다각화를 위한 통합 인프라 투자, 기업 환경 개선을 위한 규제 개혁과 투자 전략 등을 주요 정책 권장 사항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보고서 발표 후 진행된 패널 토론에서는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등의 대륙 차원의 개발 이니셔티브의 완전한 이행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아프리카 신용 평가 기관과 아프리카 금융 안정 메커니즘 등 새로운 이니셔티브의 가속화 필요성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습니다.
패널 토론은 아프리카개발은행 그룹 총재의 커뮤니케이션 및 이해관계자 참여 부문 수석 고문인 빅터 올라도쿤 박사가 진행했으며, 모타에 마루핑 박사(아프리카 리스크 캐패시티 그룹 의장)와 감비아 재무부 장관 시디 케이타 등이 기여했습니다. 아프리카연합 통상국장인 알버트 무창가는 민간 부문이 물류 및 제조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아프리카 대륙 자유 무역 지역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을 촉구했습니다.